넓적사슴벌레

넓적사슴벌레

집게벌레라고 많이 불렸다.

학명/     Serrognathus platymelus casfanjcolor  Motschulsky,1861
분류/     딱정벌레목(Coleoptera) 
             사슴벌레과(Lucanidae)
크기/     몸 길이는 수컷은 31~84mm, 암컷은 30~42mm
색상/     광택 있는 검정색 
생김새/  수컷의 경우 머리 앞부분에 긴 뿔모양이 있고 입은 수염같은 형태
분포/     한국,일본,타이완,중국,인도차이나
서식처/  야산이나 산에 있는 여러 종류의 활엽수
성별/     수컷,큰 뿔의 형상을 한 집게모양의 구조가 있는 것
             암컷,집게 모양의 구조가 없는 것
수명/     1-2년(성체)
세대/     완전변태(갖춘 탈바꿈) : 알→애벌레→번데기→성충 
습성/     밤에 활동적인 야행성 곤충
             사육하기가 쉽다
             대부분 산란, 교미활동이 밤시간에 이루어짐

사육방법

◈ 장수풍뎅이의 사육방법과 유사함

가. 건강한 성충의 확보
○ 넓적사슴벌레는  사슴벌레중 가장 크고 힘이세며 활동적이다. 
○ 성충은 건강한 움직임을 직접 확인할수 있어야 함.
 
나. 성충사육 먹이
○ 자연상태에서는 상수리나무 또는 참나무즙을 먹지만 사육을 할 경우에는 사과와 바나나, 사육용 젤리를 먹이면 된다.
○ 먹이가 떨어지지 않도록 주의하여야 한다.

다. 사육환경
○ 발효톱밥의 표면이 마르지 않도록 스프레이로 물을 살짝 뿌려 줌 .

라. 짝짓기와 산란 
○ 산란세팅을 한 사육통에 암컷만 넣고 수컷을 따로 키우는 것이 제일 안전하다.
○ 짝짓기는 인기척이 없는 어두운 밤에 주로 행해지기 때문에 눈으로 직접 확인하기는 어렵다..
○ 산란은 짝짓기가 끝나고 약 1주일 후부터 산란 시작.
○ 산란을 시작하면 먹이 먹는 양이 증가하여 먹이가 모두 소진되면 새로운 먹이로 교체.
○ 넓적사슴벌레는 성격이 사나워 짝짓기를 마친 암컷을 공격하기도 함.

마. 천적관리
○ 초파리나, 개미 등 잡벌레가 사육통에 들어가지 않도록 주의 해야 한다.
○ 사육용기의 청결을 유지하여 진드기로부터 피해를 막아야한다.

사육시설

가. 사육용기
○ 시판되고 있는 플라스틱 케이스나 유리어항 등을 이용하는 것이 좋으나암수같이 키울때에는 가급적 큰사이즈가 적합하다.

나. 매트 
○ 사슴벌레의 생활 환경을 만들어주는 중요한 요소로 참나무 생톱밥이나 발효톱밥이 사용된다.

다. 사육먹이
○ 곤충젤리, 과일 등을 사용한다.

라. 놀이목
○ 뒤집어지면 잘 일어나지 못하는 특성이 있어 사육용기 중간 중간에 넣어주면 숨을 수 있는 공간도 제공해 주게된다.
○ 곤충젤리를 끼워 넣을 수 있게 홈이 파여진 먹이접시면 더욱유용하다.
 
마. 산란목
○ 대부분의 사슴벌레는 산란목 속에 알을 낳는다. 
○ 썩은 참나무 등을 구해서 사용해도 되지만 주로 버섯 부후목이 사용된다.
○ 마트에가면 코르크가 말끔이 제거된 산란목을 구할수있다.

바. 사육장관리
○ 기본적으로 일주일에 1 번정도 먹이접시나 놀이목 등을 씻어주고 청결하게 관리한다. 
○ 사슴벌레 사육에서 가장 중요한 것은 적당한 온도와 직사광선에 맞히지 않는것 적당한 수분공급이다. 
○ 항온조건이 충족되는 공간 필요.